한글날 제 564돌 - “한글에 날개를 달자”
1. ‘한글날’ 연합 행사 목적
각 기관별로 진행되던 ‘한글날’ 행사를 서로 묶어 체계적이고 규모를 갖춘 수준 높은 한국문화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며 각 대학 교수진과 학생들 간의 교류를 활성화하여 친선을 도모하고자 합니다.
2. ‘한글날’ 기념일 탄생 배경
‘한글날’은 한글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의 성덕과 위업을 추모하기 위한 국경일이다. 1926년 매년 음력 9월 29일을 ‘가갸날’로 정하여 행사를 거행했고, 1928년에 명칭을 ‘한글날’로 바꾸었다.
지금의 한글날은 1940년 <훈민정음> 원본을 발간하여 그 말문(末文)에 적힌 “正統一年九月上澣”에 근거한 것으로 1945년에 10월 9일로 확정했다. 2005년부터는 국경일로 정해 <세종문화 상>을 시상하고 세종대왕의 능인 영릉(英陵)을 참배하며 전국에서 학술대회 및 각종 백일장을 거행한다. (세종대왕 사진/ 훈민정음 사진)
3. 한글의 시작!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한국 고유의 글자로 조선시대 세종대왕이 한자를 배울 기회가 없는 백성들이 글자를 편리하게 읽고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만든 것이다. 그래서 1443년에 훈민정음을 만들어 3년간의 시험을 거쳐 1446년에 정식으로 반포하였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훈민정음은 배우기 쉽고 조직적이며 어떤 발음이든지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글자 제작의 원리나 형태가 매우 과학적이고 독창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프로그램 일정안내
10:30 자리 펴기 - 사물놀이
10:40 개회식 -한글날 기념 축사
11:00 - 2:00 작은 마당
마당 하나 - 한국문화전시관
마당 둘 - 슈퍼스타 v
마당 셋 - 내 손으로 한글 쓰기
마당 넷 - 한복입고 노닐기 “이리 오너라!! 입고 놀자~~”
마당 다섯 - 알뜰 장터 ,사랑 나누기
마당 여섯 - 맛있는 순간~ 금강산도 식후경!
2:30 - 4:30 골든벨
6:00 - 8:00 우리들의 한마당! “얼씨구~ 한 판 놀아보자!”
*작은 마당 소개
마당 하나 - 한국문화전시관
- “이거 본 적 있니?”
내가 아는 한국의 문화, 내가 몰랐던 한국의 문화
한국을 알아가는 첫 걸음. 바로 여기!
마당 둘 - 슈퍼스타 v
- '끼 있고 열정적인 우리만의 한국노래자랑'
마당 셋 - 내 손으로 한글 쓰기
-글씨를 통해 알아보는 예쁜 한국어 찾기!
우리의 예쁜 얼굴만큼 한글도 예쁘게~~
마당 넷 - “이리 오너라!! 입고 놀자~~”-춘향가 中
- 오나라 오나라 ~~~ 장금이보다 맵시있게!
색동의 한복 속에 빛나는 아름다움.
마당 다섯 - 알뜰 장터 , 사랑 나누기
-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알뜰한 당신.
구매는 알뜰하게! 사랑은 넉넉하게!
마당 여섯 - 맛있는 순간~ 금강산도 식후경!
- 한자리에 모인 한국과 베트남 음식, 맛있게 먹고 신나게 놀자.